728x90 반응형 Infra/Server3 ppk to pem window 에서 주로 사용하는 ppk 를 전달받아 pem 으로 변환해서 사용해야하는 일이 있었습니다.아래는 ppk -> pem 변환 방법입니다.Homebrew를 이용하여 putty를 설치합니다.brew install puttyputtygen을 이용하여 ppk 파일을 pem 파일로 변환합니다.puttygen {변환ppk파일명}.ppk -O private-openssh -o {변환pem파일명}.pem새로운 키에 퍼미션 등록합니다.chmod 600 {key}.pempem 키를 이용하여 ssh로 접속 합니다.ssh -i key.pem {userName}@{host} 2025. 6. 16. hombrew 설치 및 zsh: command not found 해결 터미널에서 버전확인을 위해 npm -v 입력했을 때 이런식으로 나오길래 당황해서 구글링으로 해결했는데 나중에 똑같은 에러가 발생했을 때를 위해 기록해 두려고한다.zsh: command not found: npmzsh: command not found: node또는 homebrew 설치를 위한 brew를 입력하면 똑같이 zsh 에러가 나타나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/opt/homebrew 디렉토리 삭제 후 아래 방법으로 다시 설치하니 해결 됬었다. 1. /opt 디렉토리 이동cd /opt 2. Homebrew 디렉토리를 만든다 (root 권한 필요)sudo mkdir homebrew 3. /opt/homebrew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부여(root 권한이 필요 없도록)sudo chown -R $(whoami).. 2021. 11. 8. 빌드의 자동화를 위한 Jenkins(젠킨스) 오늘은 개발을 위한 빌드부터 배포까지 자동화 해주는 Jenkins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려고한다.개발자가 서버에 기능을 추가하려면 먼저, 개발자의 PC를 통해 개발을 하고 테스트까지 한 뒤, 이상이 없다고 판단이 되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수정된 내용을 서버에 반영을 한다.여기서 서버에 반영하는 것을 배포(Deploy)라고 하며, 배포 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빌드(Build)라고 한다. 빌드의 자동화?위에서 설명 된 것 처럼 빌드는 서버에 올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.그렇다면 빌드는 하루에 한번을 할 수 있으며, 안할 수도 있지만 1주일, 1달로 계산하면 꽤 많이 하게된다. 그리고 이 시간이 점차 늘어나 1년으로 된다면 상당히 많은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.예를 들어 예전에는 Java를 .. 2021. 10. 13.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